분류 전체보기 58

다시 시작해보자!

오늘부터 주식공부를 다시 열심히 해보려고한다. 그간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면서, 또는 작심 3일 마인드로 인해 계획된 일을 중도 포기하는 일들이 다수 발생한바 이 경험을 토대로 하나의 깨달음을 얻었다. '걍 닥치고 해라' 생각이 너무 많고, 정보가 너무 많으면 내가 세운 계획들이 볼품없어 보인다. 과연? 될까? 라는 의심이 피어나기 시작하면서 한도 끝도 없이 스스로를 의심하기 시작한다.  그러곤 주저 앉고 결론적으론 아무것도 하지 않은채 시간만 흘려보내며 스스로를 자책한다. 이 루틴을 생각보다 여러번 겪고 나니 이제서야 이를 인지하고 조금 조금씩 일어서서 나가고자 하는 다짐이 생긴다. 이 시간들이 있기에 지금 다시 열심히 해보려는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된 것 같아 정말 다행이다.  내가 보낸 시간들이 허투..

주식스토리 2025.02.13

'아주 작은 습관의 힘'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법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은 제임스 클리어(James Clear)가 쓴 책으로, 작은 변화가 어떻게 삶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이 책은 습관 형성의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작은 행동들이 어떻게 장기적인 성공을 만드는지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설명합니다. 오늘은 이 책의 핵심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이를 실제 삶에 적용할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아주 작은 습관의 원리: 1%의 법칙작은 변화의 힘제임스 클리어는 "매일 1%씩 나아지면 1년 후에는 37배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반대로, 매일 1%씩 나빠지면 그 결과는 급격히 나빠집니다. 즉, 작은 변화가 쌓이면 놀라운 결과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핵심 메시지:습관은 대단한 노력이 아니라, 작은 행동의 반복에서 시작됩니다.처..

개인스토리 2024.12.19

처음 하는 일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는 뇌과학적 접근

새로운 일을 처음 시작할 때, 누구나 두려움과 불안, 때론 무기력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성장과 발전의 핵심이며, 뇌의 작동 방식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처음 하는 일이 어려운 이유, 그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과 생각들,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뇌과학적 방법을 탐구해보겠습니다.  1. 처음 하는 일이 어려운 이유: 뇌의 작동 방식(1) 뇌는 익숙함을 선호한다우리 뇌는 에너지를 아끼고 안전을 보장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 뇌는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위험으로 간주하고, 본능적으로 저항하게 됩니다.관련 뇌 구조:편도체(Amygdala): 새로운 상황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활성화합니다.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복잡한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을 담당하지만, 처음..

개인스토리 2024.12.19

게을러지는 이유와 극복 방법: 뇌과학과 현실적 접근의 결합

게으름은 단순한 의지 부족이 아니라, 인간의 뇌가 본능적으로 선택하는 에너지 절약 전략입니다. 뇌는 항상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최대한의 안전을 보장하려고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자연스러운 기제는 때때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미루거나, 새로운 도전에 저항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게을러지는 이유와 효율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뇌과학과 심리적 접근을 결합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게을러지는 뇌과학적 이유1. 뇌는 에너지를 아끼려고 한다.뇌는 신체 에너지의 약 20%를 소비하며,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처리할 때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뇌는 본능적으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지금 하지 말자"라는 신호를 보내며, 쉬운 일이나 익숙한 루틴을 선호합니다...

개인스토리 2024.12.11

뇌과학 용어 정리 : 뇌가 우리의 행동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뇌과학은 인간의 행동, 감정, 김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 중에도 뇌과학과 연결된 개념이 많습니다. 뇌과학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어 몇 가지를 알아보고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도파민 (Dopamine)1. 정의도파민은 뇌의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로, 보상과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 역할도파민은 우리가 보상을 받을 때 분비되며, 행동을 지속하도록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 "좋다" 라는 느낌을 주는 것이 도파민 덕분입니다.3. 관련 행동도파민이 부족하면 무기력해지거나 동기부여가 어려줘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도하면 중독 행동(게임, SNS, 쇼..

개인스토리 2024.12.11

책을 읽고 나면 왜 내용이 머리에 잘 안 남을까?

책을 읽을 때는 재미있고 유익하다고 느끼는데, 막상 덮고 나면 어떤 내용이었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많죠. "왜 읽은 내용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까? 라는 고민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 이 현상은 단순히 기억력이 나빠서가 아닙니다.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은 책 읽기와 기억력의 연관성을 뇌과학적으로 풀어보고, 효과적인 독서를 위한 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그렇다면, 왜 우리는 기억을 잘 못할까?1. 뇌는 모든 것을 기억하지 않는다뇌는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생존과 관련되거나 반복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정보만 선택적으로 기억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머릿속에 남는 내용이 적은 이유는, 뇌가 그 정보를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했..

개인스토리 2024.12.05

[Github] 기본 사용법 정리

1. 프로젝트를 로컬에 다운로드: git clonegit clone  2. 새로운 브랜치 생성작업할 feature를 기준으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해당 브랜치로 스위칭한다.: git checkout -b //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git checkout maingit pull origin main// 새로운 브랜치 생성git checkout -b feature/button첫 branch 생성이라면, 바로 commit 을 한번 진행하고나서 작업한다! 안그럼 인식안됨!3. 신규 기능작성 후 변경 사항 확인: git statusgit status4. 작업 내용을 스테이징 및 커밋변경된 파일을 Git의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한다.: git add .// 모든 파일을 추가, 특정 파일만 추가하고 싶다면, 특정파..

개발스토리 2024.12.04

왜 우리는 생각만 하고 행동하지 않을까? 간단한 뇌과학으로 알아보기

"이거 진짜 좋은 아이디어인데?"머릿속으로는 수십 번 생각했지만, 실제로 실행에 옮기지 않은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죠? 이런 일이 반복될 때면, "도대체 왜 난 행동하지 못할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사실 이건 게으르거나 의지가 약해서 그런 게 아니에요. 뇌가 원래 그렇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죠. 오늘은 뇌과학적으로, 왜 우리가 생각에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게 어려운지, 그리고 그 이유를 사례를 통해 풀어보겠습니다.우리 뇌가 가진 특징 : 행동을 방해하는 3가지뇌는 즉각적인 보상을 좋아한다.뇌 속에 도파민이라는 물질이 있어요. 도파민은 우리가 보상을 받을 때 "와, 기분이 좋아!" 라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근데 문제는, 도파민은 즉각적인 보상에 민감하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T..

개인스토리 2024.12.04

[Flutter] Riverpod 을 이용한 상태관리

Flutter에서 상태관리는 앱 개발의 핵심입니다. Riverpod은 간단하고 강력한 상태관리 도구로, 다양한 종류의 Provider를 제공합니다. 주요 Provider와 핵심 코드만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먼저 Riverpod 을 사용하게되면 WidgeRef ref 객체를 사용하게되는데 해당 객체의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했습니다.WidgetRef ref1. ref.read상태를 한 번만 읽을 때 사용합니다. 상태의 변경 사항을 감지하지 않습니다.버튼 클릭 등 이벤트 내에서 상태값을 일회성으로 읽거나, 변경할 때 사용.final counterProvider = StateProvider((ref)=>0);ElevatedButton( onPressed: (){ ref.read(counterProvider..

개발스토리 2024.12.03

압도감과 박탈감은 성장의 기회로 마땅히 받아들일 만하다.

압도감과 박탈감은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일만 하다.왜냐하면 그 감정이 들었다는 건,"당신이 더 나아지고 싶다는 의지가 있다는 뜻이니까." 지금 하고 있는 작은 행동들이 당장의 큰 변화를 만들지 못함에조급함이 밀려오겠지만 그때마다 마음속으로 되새기자."이 작은 변화들이 시간이 지나면 큰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는 사실은 변함없다." 조급함이 들때면 주변 사람들과 비교를 하게되고,나 스스로의 성장속도를 무시하고, 자신의 결핍만 바라보게된다.그럴 때는 다음과 같이 마음속으로 되새기자."나는 나만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도는 충분히 괜찮다." 마지막으로 다른사람과의 비교는 나의 결핍만 바라보게된다.그 결핍으로 인해 이미 가진것을 놓칠때가 많다."지금 내가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것들을 감사하게 생각하자."

개인스토리 2024.12.03